맨위로가기

오슬로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슬로 대학교는 1811년 덴마크-노르웨이 연합에 최초로 설립하기로 결정되어, 1813년 크리스티아니아(현재 오슬로)에 왕립 프레드리크 대학교로 개교했다. 노르웨이의 정치적, 문화적 독립에 기여하는 핵심 기관으로 성장했으며, 8개의 학부와 다양한 연구소를 운영하며, 5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2023년 상하이 자오퉁 대학교의 세계 대학 학술 순위에서 세계 73위를 기록하는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대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슬로의 교육 - 국립도서관 (노르웨이)
    노르웨이 국립도서관은 1905년 설립되어 노르웨이 문화 유산 보존과 발전을 목표로 오슬로 본관과 라나 지역 보관소, 분관을 운영하며 디지털 도서관 프로젝트를 통해 온라인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 1811년 설립 - 카잔 대성당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카잔 대성당은 안드레이 보로니힌이 설계하여 1811년 완공된 러시아 정교회 성당으로, 나폴레옹 전쟁 승리 기념관이자 상트페테르부르크 교구의 중심 대성당이다.
  • 노르웨이의 대학교 - 베르겐 대학교
    베르겐 대학교는 1946년 설립되었으나 1825년 박물관 설립으로 학술 활동이 시작된 노르웨이 국립 대학으로, 해양 연구, 기후 및 에너지 전환, 세계적 과제를 주요 전략 분야로 삼아 국제적인 학문적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 노르웨이의 대학교 - 스타방에르 대학교
    스타방에르 대학교는 1969년 로갈란 지역 칼리지에서 출발하여 2005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노르웨이의 대학교로, 6개의 단과대학과 국립 전문 센터, 고고학 박물관을 운영하며 석유 기술, 위험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유럽 혁신 대학 컨소시엄 회원으로서 국제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오슬로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식 명칭오슬로 대학교
로마자 표기Universitas Osloensis
설립일1811년 9월 2일
이전 명칭왕립 프레데릭 대학교 (1811–1939)
유형공립 연구 대학
총장스베인 스톨렌
학생 수 (2020년)28,000명
교수진 수 (2020년)7,000명
행정 직원 수 (2020년)1,725명
위치오슬로, 노르웨이
소속EUA, 유럽 연구 중심 대학 길드, UNICA
웹사이트uio.no
지도 정보
기타 정보
수상노벨 평화상 시상 장소 (2020년)

2. 역사

1905년 스웨덴과의 연합 해소 이후, 오슬로 대학교는 고등 교육을 받은 전문가를 배출하여 모든 시민이 존엄하고 안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교육, 보건 서비스 및 공공 행정은 대학교 졸업생을 채용하는 주요 분야였다.[1]

1990년대에 들어 노동 시장이 좋지 않아 대학교 등록 학생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1992년 오슬로 대학교는 모든 학부에 입학 제한을 시행했고, 1996년에는 38,265명의 학생이 등록하여 1970년대와 1980년대 평균보다 약 75% 증가했다.[1]

2. 1. 초기 역사 (1811년 ~ 1900년)

1811년, 덴마크-노르웨이 연합은 프레드리크 6세 국왕과의 합의를 통해 최초의 대학교를 설립하기로 결정하였다. 당시 국왕은 이러한 기관이 정치적 분리주의 경향을 조장할 수 있다고 우려하였다. 1813년, 왕립 프레드리크 대학교(The Royal Frederik's University)가 당시 작은 도시였던 크리스티아니아(이후 오슬로로 개명)에 설립되었다. 그러나 대학교 개교 1년 만에 노르웨이가 독립을 선포하면서 상황이 급변하였다.[1]

프레드리크 6세: 대학교 설립자


1814년 전쟁의 결과로 노르웨이는 스웨덴과 입법적 연합을 맺어야 했기에 독립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노르웨이는 자체 헌법과 독립된 국가 기관을 유지했지만, 왕권과 외교는 스웨덴과 공유하였다. 스웨덴의 정치적 지배를 우려하던 당시 노르웨이인들에게 새로운 대학교는 노르웨이의 정치적, 문화적 독립에 기여하는 핵심 기관이 되었다.[1]

왕립 프레드리크 대학교의 초기 주요 기능은 상류층 공무원, 의원 및 정부 장관을 교육하는 것이었다. 또한 대학교는 국가 실태 조사, 즉 문화, 언어, 역사 및 민속 전통 조사의 중심지가 되었다. 대학교 교직원들은 현대 사회 발전에 필요한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했다. 1800년대 내내 대학교의 학문 분야는 점차 전문화되었다.[1]

1870년대에는 대학교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연구에 대한 강조가 커지고 대학교 운영이 더 전문화되고, 학문 분야가 개혁되고, 교육 방식이 발전했다. 고전주의 교육은 점점 더 압박을 받았다.[1]

2. 2. 20세기 (1900년 ~ 2000년)

20세기 초, 새로운 방법론, 과학 이론, 그리고 실천 방식의 변화로 오슬로 대학교의 연구는 질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교수들은 고도로 자격을 갖춘 학자로서 연구를 수행해야 했으며, 대학은 사회 발전에 필요한 전문 지식과 실용적 지식을 제공해야 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오슬로 대학교는 학문 분야를 전문화했다.[1]

1905년 노르웨이 연합 해체 이후, 발데마르 크리스토퍼 브뢰거(Waldemar Christofer Brøgger) 지질학 교수가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연구 자금 조달에 대한 비관적인 태도와 함께 강력한 추진력을 보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가 연구 위원회가 설립되면서 그의 비전이 실현되었다. 연구는 교육과 별개로 자금을 지원받게 되었고, 이는 1960년대 학생 수 급증과 맞물려 연구와 교육 간의 균형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야기했다. 1940년까지 연구는 국가 성장, 진보, 자기주장과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었으며, 노르웨이의 국제 학술 및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라그나르 프리슈(Ragnar Frisch)가 노벨 경제학상을, 오드 하셀(Odd Hassel)이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며 노르웨이 연구자들의 위상을 높였다. 언어학 분야에서도 여러 노르웨이 연구자들이 국제적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1911년부터 1940년 사이 학생 수는 두 배로 증가했으며, 다양한 계층의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했지만, 노동 계급 출신 학생은 여전히 적었다.[1]

1940년부터 1945년까지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디드리크 아룹 자이프(Didrik Arup Seip) 총장은 투옥되었고, 대학은 NS(노르웨이 나치당)이 임명한 아돌프 헐(Adolf Hoel)의 관리하에 놓였다. 많은 학생이 노르웨이 저항 운동에 참여했으며, 대학 강당 방화 사건 이후 대학은 폐쇄되고 학생들은 체포되었다. 많은 학생과 교사들이 전쟁이 끝날 때까지 구금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공 당국은 학자금 대출을 제공하기 시작했고, 1947년에는 국가 교육 대출 기금이 설립되었다. 이는 전후 학생 수의 기록적인 증가로 이어졌다. 1945년 가을 학기에는 5,951명의 학생이 등록했고, 1947년에는 6,000명이 넘어 전쟁 전보다 50% 증가했다.[1]

1960년대는 오슬로 대학교 역사상 가장 큰 변화의 시기였다. 1960년부터 1970년까지 학생 수는 5,600명에서 16,800명으로 세 배나 증가했다. 블린데른(Blindern) 캠퍼스가 확장되었고, 교수 및 행정 직원 수도 증가했다. 교수직은 500명 미만에서 약 1,200명으로 두 배가 되었다. 블린데른 단지 확장은 7,000명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게 했다. 특히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의 학생 수가 크게 증가했다.[1]

1968년, "학생 운동(Student Uprising)"은 서구 세계 대학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다. 학생들은 "기득권(establishment)"에 대한 불만을 품고 사회 변화를 요구했다. 학자들은 소외된 사람들과 연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1]

1970년대에는 여성 학생의 비율이 증가하여 학생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었고, 대학교는 여성 해방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1]

1990년대에는 열악한 고용 시장 상황으로 인해 학생 수가 더욱 증가했다. 1992년 오슬로 대학교는 모든 학부에 입학 제한을 시행했고, 1996년에는 38,265명의 학생이 등록했다. 이는 1970년대와 1980년대 평균보다 약 75% 증가한 수치였다.[1]

2. 3. 21세기 (2000년 ~ 현재)

2000년대 이후 오슬로 대학교의 학생 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1990년대 말, 오슬로 대학교의 학생 수는 1970년대와 1980년대 평균보다 약 75% 증가한 38,265명이었다. 1990년대 학생 수의 급격한 증가는 부분적으로 열악한 노동 시장 때문이었다.[1]

3. 학부 및 연구

오슬로 대학교는 8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학부는 다양한 연구 센터와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이 대학교의 구 캠퍼스는 칼 프리드리히 쉰켈(Karl Friedrich Schinkel)의 신고전주의 양식의 영향을 받아 오슬로 중심부에 위치하며, 국립극장, 왕궁, 의회 근처에 있다. 과거 법학부가 사용했던 구 캠퍼스는 현재 다른 학부들이 1930년대에 지어진 블린데른(Blindern) 캠퍼스로 이전하면서 주로 법학부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의학부는 오슬로 지역의 여러 대학 병원에 분산되어 있다.[8]

오슬로 대학교 법학부. 1989년까지 이 건물에서 노벨 평화상 시상식이 열렸다.


블린데른 캠퍼스의 도서관 건물. 인문사회과학 도서관이 있다.


또한, 여러 학부에 속하지 않는 부서들, 예를 들어 여러 학문 분야가 연계된 연구 센터, 해외 연구 센터, 과학 박물관, 도서관 등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국제 기후 및 환경 연구 센터, 프리스크 센터, 폭력 및 외상 스트레스 연구 노르웨이 센터, 홀로코스트 및 소수 종교 연구 센터, 시뮬라 연구소 등 오슬로 대학교와 공식적인 협력 협약을 맺고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독립 기관들도 있다.

2008년 봄부터 2010년 가을까지 우간다 마케레레 대학교, 노르웨이 베르겐 대학교, 동아프리카 사서·정보과학학교와 함께 남수단 주바 대학교의 서지검색 전산화 등을 추진하는 “주바 대학교 도서관 자동화 프로젝트”에 협력했다.[25]

3. 1. 학부

오슬로 대학교는 8개의 학부(faculties)로 구성되어 있다.[8]

학부
치의학부
교육학부
인문학부
법학부
수학·자연과학부
의학부
사회과학부
신학부


3. 2. 연구

오슬로 대학교의 연구 구조는 8개의 학부로 구성된다. 8개의 학부는 치의학부, 교육학부, 인문학부, 법학부, 수학·자연과학부, 의학부, 사회과학부, 신학부이다.[8]

신학부는 다음 8개의 연구 그룹을 지원한다.[9]

  • 신약학
  • 역사적 프로테스탄티즘
  • 종교 간 연구
  • 페르시아 및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교와 문학
  • 정경과 정경화
  • 성, 신학 및 종교
  • 직업 윤리, 사회복지학 및 실천 신학
  • 종교 미학


법학부는 다음의 연구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유럽법 센터
  • 범죄학 및 법사회학과
  • 민법학과
  • 노르웨이 컴퓨터 및 법률 연구 센터(Norwegian Research Center for Computers and Law)
  • 공법 및 국제법학과
  • 노르웨이 인권 센터
  • 스칸디나비아 해양법 연구소[10]


의학부는 다음의 연구소로 구성되어 있다.

  • 보건 및 사회 연구소
  • 기초의과학 연구소
  • 임상의학 연구소


또한, 다음의 우수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노르웨이 정신질환 연구센터
  • 면역 조절 센터
  • 암 생의학 센터


인문학부는 오슬로 대학교에서 가장 큰 학부이며, 약 8000명의 학생과 917명의 직원이 있다. 산하에 여러 학과와 연구 센터를 두고 있다.

  • 고고학, 보존 및 역사학과
  • 문화연구 및 동양어학과
  • 철학, 고전학, 미술사 및 사상사학과
  • 문학, 지역 연구 및 유럽 언어학과
  • 언어학 및 스칸디나비아 연구학과
  •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학과
  • 음악학과
  • 입센 연구 센터
  • 자연 속 마음 연구 센터
  • 상트페테르부르크 노르웨이 대학교 센터
  • 로마 노르웨이 연구소
  • 사회과학 및 인문학 분야 프랑스-노르웨이 연구 협력 센터
  • 개발 및 환경 센터


정보학과 건물, 올레-요한 달의 집.


수학·자연과학부는 다음의 학과와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생명과학과
  • 화학과
  • 지구과학과
  • 정보학과
  • 수학과
  • 물리학과
  • 이론천체물리학 연구소
  • 약학과
  • 기술시스템학과
  • 창업센터
  • 지구진화역동센터
  • 재료과학 및 나노기술센터
  • 응용수학센터
  • 생태 및 진화 통합센터
  • 이론 및 계산 화학 센터
  • 혁신적 천연가스 공정 및 제품 센터
  • 가속기 기반 연구 및 에너지 물리학 센터


사회과학부에는 다음의 학과와 연구 센터가 있다.

  • 사회학 및 인간지리학과
  • 정치학과
  • 심리학과
  • 사회인류학과
  • 경제학과
  • 기술, 혁신 및 문화 센터
  • ARENA – 유럽 연구 센터
  • 평등, 사회 조직 및 성과 센터


교육학부는 다음의 학과와 연구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교원교육 및 학교 연구학과
  • 특수교육학과
  • 교육연구학과
  • 오슬로 대학교 교육측정센터
  • 인터미디어


오슬로 대학교는 여러 학부에 속하지 않는 여러 부서를 두고 있는데, 여기에는 여러 학문 분야가 연계된 연구 센터, 해외 연구 센터, 과학 박물관, 도서관 등이 포함된다.

  • 오슬로 생명공학센터
  • 성별 연구 센터
  • 로마 노르웨이 연구소 (대학교 소유)
  • 로센달 남작령 (대학교 소유)
  • 분자 생명 과학
  • 국제 여름학교


오슬로 대학교와 공식적인 협력 협약을 맺고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독립 기관은 다음과 같다.

  • 국제 기후 및 환경 연구 센터
  • 프리스크 센터
  • 폭력 및 외상 스트레스 연구 노르웨이 센터
  • 홀로코스트 및 소수 종교 연구 센터
  • 시뮬라 연구소

4. 국제 협력

오슬로 대학교는 훔볼트 베를린 대학교와 공동으로 헨리크 슈테펜스 교수직을 운영한다. 이 교수직은 노르웨이 정부가 설립하고 자금을 지원한다.[20]

본교는 CERN 연구 프로그램의 여러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21]

2008년 봄부터 2010년 가을까지 우간다 마케레레 대학교, 노르웨이 베르겐 대학교, 동아프리카 사서·정보과학학교(EASLIS)와 함께 남수단 주바 대학교의 서지 검색 전산화 등을 추진하는 “주바대학교 도서관 자동화 프로젝트”에 협력했다.[25]

일본 대학과의 협력
대학교
도쿄대학교
교토대학교
규슈대학교
나고야대학교
와세다대학교
도시샤대학교
아오야마가쿠인대학교
국제교양대학교
가쿠슈인대학교


5. 주요 인물

오슬로 대학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저명한 학자와 동문을 배출했다. 특히 노벨상 수상자 5명을 배출하여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프리드툐프 난센은 동물학 교수이자 총장 선출자였으며, 탐험가, 인도주의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


요한 갈퉁은 평화 및 갈등 연구의 창시자로, 1969년부터 1977년까지 오슬로 대학교에서 세계 최초로 해당 분야의 교수직을 역임했다.

5. 1. 노벨상 수상자

오슬로 대학교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저명한 학자와 동문들을 많이 배출했다. 이 대학교는 노벨상 수상자 5명을 배출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들과 제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1947년부터 1989년까지 노벨 평화상 시상식이 대학 아트리움에서 열렸으며, 이는 노벨상 시상식을 개최한 유일한 대학이다.[11] 2003년부터는 아벨상 시상식이 대학 아트리움에서 열리고 있다.

  • 프리초프 난센 - 과학자, 정치인, 노벨 평화상 수상자
  • 라그나르 프리슈 - 경제학자,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 트리그브 리에 - 경제학자,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 오드 하셀 - 화학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
  • 마이브리트 모세르 - 신경과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에드바르드 모세르 - 신경과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5. 2. 저명한 동문 및 교수

오슬로 대학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저명한 학자들과 동문들을 많이 배출했다. 이 대학교는 노벨상 수상자 5명을 배출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들과 제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1947년부터 1989년까지 노벨 평화상 시상식이 대학 아트리움에서 열렸으며, 이는 노벨상 시상식을 개최한 유일한 대학이다.[11] 2003년부터는 아벨상 시상식이 대학 아트리움에서 열리고 있다.
주목할 만한 학자

  • 빌헬름 오베르트(Vilhelm Aubert) (사회학 교수)
  • 세실리아 바이예(Cecilia Bailliet) (법학 교수) 겸 유엔 인권 특별 보고관[12]
  • 프레드리크 바르트(Fredrik Barth) (사회인류학 교수)
  • 욘 빙(Jon Bing) (법학 교수; 법적 정보학의 선구자)
  • 닐스 크리스티(Nils Christie) (범죄학 교수)
  • 올레-요한 달(Ole-Johan Dahl) (컴퓨터 과학 교수)
  • 토베 스탕 달(Tove Stang Dahl) (법학 교수; 여성주의 법학의 선구자)
  • 이바르 겨이버(Ivar Giæver) (물리학 교수)
  • 요한 갈퉁(Johan Galtung) (평화·분쟁 연구 교수; 해당 분야의 창시자)
  • 빅터 골드슈미트(Victor Goldschmidt) (광물학 및 암석학 교수, 지구화학결정학의 창시자)
  • 에릭 그뢰네세트(Erik Grønseth) (사회학 교수; 노르웨이 가족 사회학의 창시자)
  • 프랜시스 하게룹(Francis Hagerup) (법학 교수)
  • 비고 하그스트롬(Viggo Hagstrøm) (법학 교수)
  • 오드 하셀(Odd Hassel) (화학 교수)
  • 해리엇 홀터(Harriet Holter) (사회심리학 교수)
  • 트리그베 하벨모(Trygve Haavelmo) (경제학 교수)
  • 토마스 마티에센(Thomas Mathiesen) (사회학 교수)
  • 프리드트요프 난센(Fridtjof Nansen) (동물학 교수)
  • 아른베드 네드크비트네(Arnved Nedkvitne) (역사학 교수)
  • 아르네 네스(Arne Næss) (철학 교수; 심층 생태론의 창시자)
  • 크리스텐 니가르드(Kristen Nygaard) (컴퓨터 과학 교수)
  • 트리그베 레엔스코(Trygve Reenskaug) (정보학 교수)
  • 비베케 로겐(Vibeke Roggen) (고전학 부교수)
  • 소푸스 리(Sophus Lie) (수학 교수, 추상 대수학의 선구자; 주로 연속 대칭 이론을 창시)
  • 페테르 루드비히 메이델 실로(Peter Ludwig Mejdell Sylow) (수학 교수)
  • 칼 마르스트란데르(Carl Marstrander) (켈트어 교수)
  • 게오르그 모르겐스티에르네(Georg Morgenstierne) (언어학 교수)

주목할 만한 동문

  • 닐스 헨리크 아벨(Niels Henrik Abel) (1802–1829) – 수학자, 수학 분야의 아벨상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그로 할렘 브룬트란(Gro Harlem Brundtland) – 노르웨이 전 총리
  • 외이빈 엘링센(Øyvind Ellingsen) (1952년생) – 노르웨이 심장병 전문의
  • 엘리자베스 에르케(Elisabeth Erke) (1962년생) – 노르웨이 사미족 교육자이자 정치인
  • 아세 클레블란(Åse Kleveland) – 노르웨이 가수이자 정치인
  • 프리드티오프 난센(Fridtjof Nansen) – 극지 탐험가이자 노벨상 수상자
  • 해리슨 슈미트(Harrison Schmitt) – 전 미국 우주비행사, 아폴로 17호에서 달에 착륙
  • 페트리트 셀리미(Petrit Selimi) – 코소보 외무부 차관
  • 볼드윈 스펜서(Baldwin Spencer) – 앤티가 바부다 전 총리
  • 옌스 스톨텐베르그(Jens Stoltenberg) – 노르웨이 전 총리이자 NATO 사무총장
  • 안드레아스 토루드(Andreas Thorud) – 축구 선수
  • 올라브 토르게르센(Olav Torgersen) (1907 – 1978) – 의사, 병리학자이자 학자
  • 토르 헤이에르달(Thor Heyerdahl) – 민족학자, 모험가
  • 카레 윌로크(Kåre Willoch) – 노르웨이 전 총리
  • 잉게보르그 호프(Ingeborg Hoff) – 노르웨이 언어학자, 이후 노르웨이 방언 보관소의 수석 사서
  • 어니스트 세예르스테드 셀머(Ernst S. Selmer) - 수학자이자 암호학
  • 아틀레 셀베르그(Atle Selberg) - 수학자이자 필즈상 수상자
  • 바르드 굴드빅 아이툰(Bård Guldvik Eithun) - 노르웨이 블랙 메탈 음악가
  • 라그나르 프리슈(Ragnar Frisch) - 경제학자,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 마이브리트 모세르(May-Britt Moser) - 신경과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에드바르드 모세르(Edvard Moser) - 신경과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크리스틴 니고르(Kristin Nygård) -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 정치인
  • 외이스테인 예르데르(Jostein Gaarder) - 소설가
  • 올레 크리스티안 하레스비(Ole Kristian Hagesæther) - 신학자, 설교가

6. 평가

2023년 상하이 자오퉁 대학교의 세계 대학 학술 순위에 따르면 오슬로 대학교(UiO)는 세계 73위, 노르웨이 1위를 기록했다.[14] 2024년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127위,[15]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117위를 기록했다.[16] 2022년 웹메트릭스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94위를 기록했다.[17]

세계 대학 순위 센터(CWUR)의 2022년 순위에서는 오슬로 대학교가 세계 99위를 기록했다.[18][19] CWUR은 설문조사 및 대학 자료 제출에 의존하지 않고 학생 교육 및 훈련의 질, 교수진의 명성, 연구의 질을 측정하여 순위를 발표한다.

오슬로 대학교는 북유럽을 대표하는 대학 중 하나로, 여러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주요 순위는 다음과 같다.

평가 기관2022년2023년2024년
세계 대학 학술 순위(ARWU)73위[22]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THE)127위[15]
QS 세계 대학 순위117위[16]
웹메트릭스 세계 대학 순위94위[17]
세계 대학 순위 센터(CWUR)99위[18][19]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University of Oslo (UiO) - Maritime & North Sea Energy Law Education https://www.edumarit[...] 2018-10-24
[3] 웹사이트 Fargepalett https://www.uio.no/o[...] University of Oslo 2022-02-02
[4] 뉴스 Inne på topp 100 i rangering av 21.000 universiteter https://www.khrono.n[...] 2024-05-21
[5] 웹사이트 About Oslo https://web.archive.[...] 2018-09-16
[6] 웹사이트 I år skal Nobels fredspris utdeles på UiO - Uniforum https://www.uniforum[...] 2022-09-19
[7] 웹사이트 Nobel Prize Laureates http://www.uio.no/en[...] 2016-07-22
[8] 웹사이트 Research. University of Oslo http://www.uio.no/en[...] 2016-07-21
[9] 웹사이트 Research Groups. The Faculty of Theology. University of Oslo http://www.tf.uio.no[...] 2016-07-21
[10] 웹사이트 University of Oslo (UiO) - Maritime & North Sea Energy Law Education https://www.edumarit[...] 2018-12-13
[11] 웹사이트 Prisutdelingen https://web.archive.[...] Det Norske Nobelinstitutt 2012-09-22
[12] 웹사이트 Ms. Cecilia Bailliet: Independent Expert on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https://www.ohchr.or[...] 2024-06-16
[13] 웹사이트 Kopinor-avgiften http://www.uio.no/st[...] University of Oslo 2018-03-29
[14] 웹사이트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2023 http://www.shanghair[...]
[15] 웹사이트 2024 https://www.timeshig[...] 2023-08-25
[16]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opunive[...]
[17] 웹사이트 Webometrics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www.webometri[...] 2015-07-21
[18] 웹사이트 Brief Description CWUR http://cwur.org/meth[...] 2015-07-21
[19] 웹사이트 University of Oslo Ranking 2022-2023 CWUR https://cwur.org/202[...] 2022-09-19
[20] 웹사이트 Humboldt-universitetet: Alle moderne universiteters mor https://www.uniforum[...]
[21] 웹사이트 List of institutes—U. Oslo participation https://greybook.cer[...] 2020-05-13
[22]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www.shanghair[...] 2024-12-21
[23]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https://www.topunive[...] 2024-12-21
[24]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4-12-21
[25] 웹사이트 JULAP Juba University Library Automation Project http://www.varastoki[...] 2011-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